대학국어 중간시험 자료

By bbon@live.com

1. 공무도하가를 여러관점에서 해석하시오.

머리가 하얀 미치광이가 병을 끼고 물에 들었다는 점으로 보아,

무당이 되려다가 성공하지 못한 사람,

무당의 권능이 떨어져서 죽음에 이르게 된사람, 혹은 술에 취한 주신으로 해석할수 있다.

, 미치광이의 행색과 그의 아내가 슬프게 울며 노래했다는 점으로 보아,

삶의 곤궁함이 죽음에 이르게 한것으로 당시 민중의 생활상을 반영한것으로 볼수 있다.

죽음앞에서 애끓는 정서를 드러낸 이별의 노래로 볼수 있다.

 

2. 단군신화를 학자들은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설명하시오.

역사학자들은 환웅을 천신을 숭배하면서 이주해 온 집단으로, 웅녀를 곰을 토템으로 숭배한 토착부족으로 나타내어

이 두 부족이 통합해 새로운 집단으로 탄생했음을 말해 준다.

민속학자들은 환웅을 고대의 제사장이면서, 부족장이었던 존재로 해석한다.

환웅이 환인에게서 받은천부인세 개는 고대 무속 사제가 가진 신성 징표로서 거울, 방울, 칼을 말함.

그가 거느린 풍백, 운사, 우사 등은 기후를 조절하는 주술사로서 농경부족의 족장이 기후조절 권능이 있음을 말해 준다.

 

3. 삼국시대 문학 황조가, 정읍사를 설명하시오.

황조가는 외로움을 노래한 서정시이며, 정치적인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시이다.

또는 사랑하는 사람을 구하는 노래였는데 이것이 나중에 유리왕 이야기에 삽입된것으로 보는가 하면,

수렵생활의 사회로부터 농경생활의 사회로 옮겨가는 과정을 말해 주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정읍사는 고려가요로 독특한 여음 혹은 후렴구의 존재를 지적할수 있다.

정읍사의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와 비슷한 예로 ,<아리랑>계령의 노래에서 볼 수 있는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가 있고 이 처럼 음악에 맞추어 흥을 돋으면서

한 편의 노래로서 형식적인 동질성을 갖추기 위한 장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4. 제망매가를 세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하시오.

세상을 떠난 누이를 그리면서 부른 노래로,

현세적 세계에서 한마디 말도 나눌 수 없이 세상을 떠난 누이에 대한 고통을 첫 부분에 그렸고,

무상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유한함을 나뭇잎에 견주어 그려 낸 뒤에 마지막 아홉째~열째 줄에서는 그 고뇌의 극한을

감탄사로 고양하고 총괄한 뒤에 종교적 발원을 통해 이를 포용함으로써 정서적 해결에 이르고 있어

그 시적 전환의 구체성을 보여 주고 있다.

 

5. 처용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시오.